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밤늦게 귀가할 때 안전을 위해 항상 택시를 이용하던 무지는 최근 야근이 잦아져 택시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되어 택시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무지"는 자신이 택시를 이용할 때 동료인 어피치 역시 자신과 비슷한 방향으로 가는 택시를 종종 이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지"는 "어피치"와 귀가 방향이 비슷하여 택시 합승을 적절히 이용하면 택시요금을 얼마나 아낄 수 있을 지 계산해 보고 "어피치"에게 합승을 제안해 보려고 합니다.

위 예시 그림은 택시가 이동 가능한 반경에 있는 6개 지점 사이의 이동 가능한 택시노선과 예상요금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A와 B 두 사람은 출발지점인 4번 지점에서 출발해서 택시를 타고 귀가하려고 합니다. A의 집은 6번 지점에 있으며 B의 집은 2번 지점에 있고 두 사람이 모두 귀가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최저 택시요금이 얼마인 지 계산하려고 합니다.

  • 그림의 원은 지점을 나타내며 원 안의 숫자는 지점 번호를 나타냅니다.
    • 지점이 n개일 때, 지점 번호는 1부터 n까지 사용됩니다.
  • 지점 간에 택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간선이라 하며, 간선에 표시된 숫자는 두 지점 사이의 예상 택시요금을 나타냅니다.
    • 간선은 편의 상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위 그림 예시에서, 4번 지점에서 1번 지점으로(4→1) 가거나, 1번 지점에서 4번 지점으로(1→4) 갈 때 예상 택시요금은 10원으로 동일하며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 예상되는 최저 택시요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4→1→5 : A, B가 합승하여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10 + 24 = 34원 입니다.
    • 5→6 : A가 혼자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2원 입니다.
    • 5→3→2 : B가 혼자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24 + 22 = 46원 입니다.
    • A, B 모두 귀가 완료까지 예상되는 최저 택시요금은 34 + 2 + 46 = 82원 입니다.

[문제]

지점의 개수 n, 출발지점을 나타내는 s, A의 도착지점을 나타내는 a, B의 도착지점을 나타내는 b, 지점 사이의 예상 택시요금을 나타내는 far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A, B 두 사람이 s에서 출발해서 각각의 도착 지점까지 택시를 타고 간다고 가정할 때, 최저 예상 택시요금을 계산해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아예 합승을 하지 않고 각자 이동하는 경우의 예상 택시요금이 더 낮다면, 합승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한사항]

  • 지점갯수 n은 3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지점 s, a, b는 1 이상 n 이하인 자연수이며, 각기 서로 다른 값입니다.
    • 즉, 출발지점, A의 도착지점, B의 도착지점은 서로 겹치지 않습니다.
  • fares는 2차원 정수 배열입니다.
  • fare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n x (n-1) / 2 이하입니다.
    • 예를들어, n = 6이라면 fare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15 이하입니다. (6 x 5 / 2 = 15)
    • fares 배열의 각 행은 [c, d, f] 형태입니다.
    • c지점과 d지점 사이의 예상 택시요금이 f원이라는 뜻입니다.
    • 지점 c, d는 1 이상 n 이하인 자연수이며, 각기 서로 다른 값입니다.
    • 요금 f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fares 배열에 두 지점 간 예상 택시요금은 1개만 주어집니다. 즉, [c, d, f]가 있다면 [d, c, f]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출발지점 s에서 도착지점 a와 b로 가는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n s a b fares result
6 4 6 2 [[4, 1, 10], [3, 5, 24], [5, 6, 2], [3, 1, 41], [5, 1, 24], [4, 6, 50], [2, 4, 66], [2, 3, 22], [1, 6, 25]] 82
7 3 4 1 [[5, 7, 9], [4, 6, 4], [3, 6, 1], [3, 2, 3], [2, 1, 6]] 14
6 4 5 6 [[2,6,6], [6,3,7], [4,6,7], [6,5,11], [2,5,12], [5,3,20], [2,4,8], [4,3,9]] 18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합승을 하지 않고, B는 3→2→1, A는 3→6→4 경로로 각자 택시를 타고 가는 것이 최저 예상 택시요금입니다.
  • 따라서 최저 예상 택시요금은 (3 + 6) + (1 + 4) = 14원 입니다.

입출력 예 #3

  • A와 B가 4→6 구간을 합승하고 B가 6번 지점에서 내린 후, A가6→5` 구간을 혼자 타고 가는 것이 최저 예상 택시요금입니다.
  • 따라서 최저 예상 택시요금은 7 + 11 = 18원 입니다.

 

풀이

 

이번 문제는 생각보다 쉽게 풀 수 있었다.

 

간단하게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두 번 써서 풀면 되는데 첫 번째는 합승한 상태로 각 노드에 도착할 수 있는 최소 요금을 구하고 두 번째로 각 출발지에서 A, B가 자신의 집으로 갈 때의 최소 요금을 구해주면 된다. 합승 상태에서의 요금 + 합승이 끝난 후 그 출발지에서 각자의 집으로 가는 요금을 리스트에 넣고 최솟값을 구하면 바로 풀 수 있다.

 

import heapq

def dijkstra(graph, s):
    distances = {node: float('inf') for node in graph}  # 최단 거리 리스트
    distances[s], queue = 0, []
    heapq.heappush(queue, [distances[s], s])  # 시작 노드 큐에 push

    # dijkstra
    while queue:
        c_dis, c_des = heapq.heappop(queue)
        if distances[c_des] < c_dis:
            continue
        for n_des, n_dis in graph[c_des].items():
            distance = c_dis + n_dis
            if distance < distances[n_des]:
                distances[n_des] = distance
                heapq.heappush(queue, [distance, n_des])

    return distances


def solution(n, s, a, b, fares):
    graph = {}
    for n1, n2, w in fares:
        graph.setdefault(n1, {})[n2] = w
        graph.setdefault(n2, {})[n1] = w

    # 합승했을 때 최소 요금
    to_distances = dijkstra(graph, s)
    cost_list = [to_distances[a] + to_distances[b]]

    # 합승이 끝난 후 각자의 최소 요금
    for key, value in to_distances.items():
        if key == s: continue
        al_distances = dijkstra(graph, key)
        cost_list.append(al_distances[a] + al_distances[b] + value)

    return min(cost_list)

 

정확성  테스트
테스트 1 〉	통과 (0.05ms, 10.2MB)
테스트 2 〉	통과 (0.04ms, 10.3MB)
테스트 3 〉	통과 (0.06ms, 10.3MB)
테스트 4 〉	통과 (0.19ms, 10.3MB)
테스트 5 〉	통과 (0.16ms, 10.3MB)
테스트 6 〉	통과 (0.24ms, 10.3MB)
테스트 7 〉	통과 (0.22ms, 10.3MB)
테스트 8 〉	통과 (0.34ms, 10.3MB)
테스트 9 〉	통과 (0.39ms, 10.3MB)
테스트 10 〉	통과 (0.75ms, 10.3MB)
효율성  테스트
테스트 1 〉	통과 (22.58ms, 10.3MB)
테스트 2 〉	통과 (107.66ms, 10.6MB)
테스트 3 〉	통과 (44.70ms, 10.3MB)
테스트 4 〉	통과 (49.47ms, 10.3MB)
테스트 5 〉	통과 (47.89ms, 10.4MB)
테스트 6 〉	통과 (47.73ms, 10.2MB)
테스트 7 〉	통과 (798.42ms, 14.8MB)
테스트 8 〉	통과 (864.80ms, 14.8MB)
테스트 9 〉	통과 (747.26ms, 14.5MB)
테스트 10 〉	통과 (730.82ms, 14.5MB)
테스트 11 〉	통과 (686.27ms, 14.5MB)
테스트 12 〉	통과 (455.18ms, 12.4MB)
테스트 13 〉	통과 (437.16ms, 12.4MB)
테스트 14 〉	통과 (477.74ms, 12.5MB)
테스트 15 〉	통과 (485.12ms, 12.4MB)
테스트 16 〉	통과 (43.76ms, 10.2MB)
테스트 17 〉	통과 (42.48ms, 10.3MB)
테스트 18 〉	통과 (38.63ms, 10.3MB)
테스트 19 〉	통과 (97.01ms, 10.4MB)
테스트 20 〉	통과 (148.99ms, 10.6MB)
테스트 21 〉	통과 (149.60ms, 10.6MB)
테스트 22 〉	통과 (459.54ms, 12.4MB)
테스트 23 〉	통과 (436.14ms, 12.5MB)
테스트 24 〉	통과 (439.91ms, 12.5MB)
테스트 25 〉	통과 (30.09ms, 10.3MB)
테스트 26 〉	통과 (26.19ms, 10.3MB)
테스트 27 〉	통과 (130.67ms, 10.5MB)
테스트 28 〉	통과 (125.04ms, 10.5MB)
테스트 29 〉	통과 (14.85ms, 10.4MB)
테스트 30 〉	통과 (15.27ms, 10.3MB)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카카오는 하반기 경력 개발자 공개채용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지원서 접수와 코딩테스트가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채용에서 지원자는 지원서 작성 시 아래와 같이 4가지 항목을 반드시 선택하도록 하였습니다.

  • 코딩테스트 참여 개발언어 항목에 cpp, java, python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지원 직군 항목에 backend와 frontend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지원 경력구분 항목에 junior와 senior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선호하는 소울푸드로 chicken과 pizza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인재영입팀에 근무하고 있는 니니즈는 코딩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채용에 참여한 개발팀들에 제공하기 위해 지원자들의 지원 조건을 선택하면 해당 조건에 맞는 지원자가 몇 명인 지 쉽게 알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팀에서 궁금해하는 문의사항은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코딩테스트에 java로 참여했으며,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ju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몇 명인가?

물론 이 외에도 각 개발팀의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문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코딩테스트에 python으로 참여했으며, front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코딩테스트에 cpp로 참여했으며,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코딩테스트 점수를 2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5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즉, 개발팀에서 궁금해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

*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X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문제]

지원자가 지원서에 입력한 4가지의 정보와 획득한 코딩테스트 점수를 하나의 문자열로 구성한 값의 배열 info, 개발팀이 궁금해하는 문의조건이 문자열 형태로 담긴 배열 quer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문의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info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50,000 이하입니다.
  • info 배열 각 원소의 값은 지원자가 지원서에 입력한 4가지 값과 코딩테스트 점수를 합친 "개발언어 직군 경력 소울푸드 점수" 형식입니다.
    • 개발언어는 cpp, java, python 중 하나입니다.
    • 직군은 backend, frontend 중 하나입니다.
    • 경력은 junior, senior 중 하나입니다.
    • 소울푸드는 chicken, pizza 중 하나입니다.
    • 점수는 코딩테스트 점수를 의미하며,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각 단어는 공백문자(스페이스 바)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query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 query의 각 문자열은 "[조건] X" 형식입니다.
    • [조건]은 "개발언어 and 직군 and 경력 and 소울푸드"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언어는 cpp, java, python, - 중 하나입니다.
    • 직군은 backend, frontend, - 중 하나입니다.
    • 경력은 junior, senior, - 중 하나입니다.
    • 소울푸드는 chicken, pizza, - 중 하나입니다.
    • '-' 표시는 해당 조건을 고려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 X는 코딩테스트 점수를 의미하며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중 X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 지를 의미합니다.
    • 각 단어는 공백문자(스페이스 바)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예를 들면, "cpp and - and senior and pizza 500"은 "cpp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경력은 senior 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5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를 의미합니다.

[입출력 예]

infoqueryresult

info query result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210","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150","cpp backend senior pizza 260","java backend junior chicken 80","python backend senior chicken 50"] ["java and backend and junior and pizza 100","python and frontend and senior and chicken 200","cpp and - and senior and pizza 250","- and backend and senior and - 150","- and - and - and chicken 100","- and - and - and - 150"] [1,1,1,1,2,4]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지원자 정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언어직군경력소울 푸드점수

언어 직군 경력 소울 푸드 점수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
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210
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150
cpp backend senior pizza 260
java backend junior chicken 80
python backend senior chicken 50
  • "java and backend and junior and pizza 100" : java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ju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python and frontend and senior and chicken 200" : python으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front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 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0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cpp and - and senior and pizza 250" : cpp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 and backend and senior and - 150" :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인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1명 입니다.
  • "- and - and - and chicken 100" :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을 받은 지원자는 2명 입니다.
  • "- and - and - and - 150" :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4명 입니다.

 

풀이

 

처음에는 직관적으로 for문을 이용해서 코드를 짰더니 정확성 테스트는 통과했지만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입력받은 info와 query를 and와 -를 제외해서 공백을 기준으로 나눈 뒤 issubset함수를 이용해서 condition조건이 다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def solution(info, query):
    answer = []
    applicant = [[] for i in range(len(info))]
    condition = [[] for i in range(len(query))]
    for i in range(len(info)):
        applicant[i].extend(info[i].split(' '))
    for i in range(len(query)):
        for j in query[i].split(' '):
            if j != "and" and j != "-":
                condition[i].append(j)
    
    for i in range(len(condition)):
        count = 0
        for j in range(len(applicant)):
            if set(condition[i][:-1]).issubset(set(applicant[j][:-1])) and int(condition[i][-1]) <= int(applicant[j][-1]):
                count += 1
        answer.append(count)           

    return answer

 

테스트 1 〉	통과 (0.34ms, 10.4MB)
테스트 2 〉	통과 (0.17ms, 10.4MB)
테스트 3 〉	통과 (1.45ms, 10.4MB)
테스트 4 〉	통과 (14.41ms, 10.5MB)
테스트 5 〉	통과 (65.44ms, 10.6MB)
테스트 6 〉	통과 (154.84ms, 10.8MB)
테스트 7 〉	통과 (74.16ms, 11.1MB)
테스트 8 〉	통과 (343.10ms, 12.5MB)
테스트 9 〉	통과 (363.39ms, 12.6MB)
테스트 10 〉	통과 (361.65ms, 12.7MB)
테스트 11 〉	통과 (61.57ms, 10.6MB)
테스트 12 〉	통과 (155.00ms, 10.7MB)
테스트 13 〉	통과 (73.67ms, 11.2MB)
테스트 14 〉	통과 (321.55ms, 11.5MB)
테스트 15 〉	통과 (371.14ms, 11.4MB)
테스트 16 〉	통과 (64.87ms, 10.7MB)
테스트 17 〉	통과 (160.35ms, 10.7MB)
테스트 18 〉	통과 (356.55ms, 11.4MB)

 

info배열은 50000까지, query배열은 100000까지 존재하므로 단순하게 for문을 이용해서 코드를 짜면 O(50000 * 100000)의 시간복잡도가 나오므로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applicant를 코딩테스트 점수를 기준으로 정렬한 뒤 lower bound를 이용하여 개발팀이 원하는 코딩테스트 점수 이상의 지원자에 한해서만 남은 요소를 비교하도록 바꿔줬다. 위의 방법에 비해 1/2넘게 시간이 줄었지만 효율성 테스트는 통과하지 못했다.

 

def solution(info, query):
    answer = []
    applicant = [[] for i in range(len(info))]
    condition = [[] for i in range(len(query))]

    for i in range(len(info)):
        applicant[i].extend(info[i].split(' '))

    for i in range(len(query)):
        for j in query[i].split(' '):
            if j != "and" and j != "-":
                condition[i].append(j)
    
    applicant.sort(key=lambda x:int(x[-1]))
    
    for i in range(len(condition)):
        left, right, target = 0, len(applicant)-1, int(condition[i][-1])
        while(left < right):
            mid = (left+right)//2
            if target <= int(applicant[mid][-1]):
                right = mid
            else:
                left = mid+1
        
        count = 0
        for j in range(right, len(applicant)):
            if set(condition[i][:-1]).issubset(set(applicant[j][:-1])):
                count += 1
        answer.append(count)           

    return answer
테스트 1 〉	통과 (0.14ms, 10.3MB)
테스트 2 〉	통과 (0.13ms, 10.5MB)
테스트 3 〉	통과 (0.99ms, 10.4MB)
테스트 4 〉	통과 (10.21ms, 10.5MB)
테스트 5 〉	통과 (40.19ms, 10.7MB)
테스트 6 〉	통과 (76.25ms, 10.6MB)
테스트 7 〉	통과 (37.37ms, 11.1MB)
테스트 8 〉	통과 (190.00ms, 12.6MB)
테스트 9 〉	통과 (171.76ms, 13MB)
테스트 10 〉	통과 (190.56ms, 13MB)
테스트 11 〉	통과 (36.94ms, 10.5MB)
테스트 12 〉	통과 (77.33ms, 10.7MB)
테스트 13 〉	통과 (36.34ms, 11MB)
테스트 14 〉	통과 (156.70ms, 11.6MB)
테스트 15 〉	통과 (150.55ms, 11.6MB)
테스트 16 〉	통과 (35.04ms, 10.6MB)
테스트 17 〉	통과 (74.16ms, 10.5MB)
테스트 18 〉	통과 (145.73ms, 11.5MB)

 

여러 방법을 써도 자꾸 유효성 검사 통과가 안돼서 결국 문제 해설을 확인하고 힌트를 얻었다.

https://tech.kakao.com/2021/01/25/2021-kakao-recruitment-round-1/

 

2021 카카오 신입공채 1차 온라인 코딩 테스트 for Tech developers 문제해설

지난 2020년 9월 12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5시간 동안 2021 카카오 신입 개발자 공채 1차 코딩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테스트에는 총 7개의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개발 언어는 C++, Java, Jav

tech.kakao.com

아래와 같이 info가 들어오면 query에서 true값이 나오는 모든 경우의 수를 group형태로 만들어서 key로 저장하고 점수를 value로 저장해둔 뒤 query가 들어오면 해당 값을 key로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점수 리스트 중 조건에 알맞는 개수를 세서 return해주면 된다. 이 때, lower bound를 써서 개수를 세면 속도가 더 빨라진다.

 

언어 직군 경력 소울 푸드 점수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
backend junior pizza 150
java junior pizza 150
java backend pizza 150
java backend junior 150
junior pizza 150
backend pizza 150
… (생략)        
java 150
150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def solution(info, query):
    answer = []
    group = defaultdict(list)

    #점수를 제외한 값을 key, 점수 리스트를 value로 group생성
    for i in range(len(info)):
        tmp = info[i].split(' ')
        group[tmp[0]+tmp[1]+tmp[2]+tmp[3]].append(int(tmp[4]))
        group['-'+tmp[1]+tmp[2]+tmp[3]].append(int(tmp[4]))
        group['-'+'-'+tmp[2]+tmp[3]].append(int(tmp[4]))
        group['-'+tmp[1]+'-'+tmp[3]].append(int(tmp[4]))
        group['-'+tmp[1]+tmp[2]+'-'].append(int(tmp[4]))
        group['-'+'-'+'-'+tmp[3]].append(int(tmp[4]))
        group['-'+'-'+tmp[2]+'-'].append(int(tmp[4]))
        group['-'+tmp[1]+'-'+'-'].append(int(tmp[4]))
        group['-'+'-'+'-'+'-'].append(int(tmp[4]))
        group[tmp[0]+'-'+tmp[2]+tmp[3]].append(int(tmp[4]))
        group[tmp[0]+'-'+'-'+tmp[3]].append(int(tmp[4]))
        group[tmp[0]+'-'+'-'+'-'].append(int(tmp[4]))
        group[tmp[0]+'-'+tmp[2]+'-'].append(int(tmp[4]))
        group[tmp[0]+tmp[1]+'-'+tmp[3]].append(int(tmp[4]))
        group[tmp[0]+tmp[1]+'-'+'-'].append(int(tmp[4]))
        group[tmp[0]+tmp[1]+tmp[2]+'-'].append(int(tmp[4]))

    for value in group.values():
        value.sort()
    #group의 key에서 해당 query가 있는지 확인 후 이진 탐색으로 인원수세기
    for i in range(len(query)):
        query[i] = [i for i in query[i].split() if i != 'and']
        q_key = query[i][0]+query[i][1]+query[i][2]+query[i][3]
        q_score = int(query[i][4])
        if q_key in group:
            i_score = group[q_key]
            left, right, target = 0, len(i_score)-1, q_score
            if i_score[-1] >= q_score:
                while(left < right):
                    mid = (left+right)//2
                    if target <= i_score[mid]:
                       right = mid
                    else:
                      left = mid+1
                answer.append(len(group[q_key]) - right)
            else:   
                answer.append(0)
        else:
            answer.append(0)
    return answer
테스트 1 〉	통과 (0.19ms, 10.3MB)
테스트 2 〉	통과 (0.20ms, 10.6MB)
테스트 3 〉	통과 (0.55ms, 10.4MB)
테스트 4 〉	통과 (2.05ms, 10.6MB)
테스트 5 〉	통과 (3.51ms, 10.7MB)
테스트 6 〉	통과 (7.16ms, 10.5MB)
테스트 7 〉	통과 (5.21ms, 11.2MB)
테스트 8 〉	통과 (37.81ms, 11.5MB)
테스트 9 〉	통과 (41.16ms, 13.1MB)
테스트 10 〉	통과 (41.99ms, 13.8MB)
테스트 11 〉	통과 (3.85ms, 10.8MB)
테스트 12 〉	통과 (7.05ms, 10.9MB)
테스트 13 〉	통과 (5.28ms, 11.2MB)
테스트 14 〉	통과 (23.97ms, 12.1MB)
테스트 15 〉	통과 (25.10ms, 12.2MB)
테스트 16 〉	통과 (3.50ms, 10.6MB)
테스트 17 〉	통과 (7.64ms, 10.7MB)
테스트 18 〉	통과 (24.36ms, 12.2MB)

 

테스트 1 〉	통과 (880.49ms, 88.8MB)
테스트 2 〉	통과 (1039.00ms, 89.1MB)
테스트 3 〉	통과 (1003.83ms, 75.8MB)
테스트 4 〉	통과 (977.12ms, 77.1MB)​

 

배열의 인덱스에 접근하는데도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드는 듯 하다. 계속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 못해서 이진탐색하는 부분의 배열 접근을 줄였더니 통과할 수 있었다. group을 생성하는 부분은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를 직접 적어주었다.

i_score 배열에 조건을 만족하는 score가 없을 시에 answer에 0을 넣어야 하는데 이 부분을 생각하지 못해서.. 헤매기도 했다..ㅎ

문제 설명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새로운 메뉴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어떤 단품메뉴들을 조합해서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면 좋을 지 고민하던 "스카피"는 이전에 각 손님들이 주문할 때 가장 많이 함께 주문한 단품메뉴들을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단, 코스요리 메뉴는 최소 2가지 이상의 단품메뉴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또한,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으로부터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대해서만 코스요리 메뉴 후보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예를 들어, 손님 6명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의 조합이 다음과 같다면,
(각 손님은 단품메뉴를 2개 이상 주문해야 하며, 각 단품메뉴는 A ~ Z의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손님 번호 주문한 단품메뉴 조합
1번 손님 A, B, C, F, G
2번 손님 A, C
3번 손님 C, D, E
4번 손님 A, C, D, E
5번 손님 B, C, F, G
6번 손님 A, C, D, E, H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따라 "스카피"가 만들게 될 코스요리 메뉴 구성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 종류 메뉴 구성설명
요리 2개 코스 A, C 1번, 2번,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4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3개 코스 C, D, E 3번,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3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4개 코스 B, C, F, G 1번, 5번 손님으로부터 총 2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4개 코스 A, C, D, E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2번 주문됐습니다.

[문제]

각 손님들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이 문자열 형식으로 담긴 배열 orders, "스카피"가 추가하고 싶어하는 코스요리를 구성하는 단품메뉴들의 갯수가 담긴 배열 cours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스카피"가 새로 추가하게 될 코스요리의 메뉴 구성을 문자열 형태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order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20 이하입니다.
  • orders 배열의 각 원소는 크기가 2 이상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각 문자열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각 문자열에는 같은 알파벳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course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 이하입니다.
    • course 배열의 각 원소는 2 이상 10 이하인 자연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 course 배열에는 같은 값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정답은 각 코스요리 메뉴의 구성을 문자열 형식으로 배열에 담아 사전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서 return 해주세요.
    • 배열의 각 원소에 저장된 문자열 또한 알파벳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
    • 만약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메뉴 구성이 여러 개라면, 모두 배열에 담아 return 하면 됩니다.
    • orders와 course 매개변수는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이 되도록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orders course result
["ABCFG", "AC", "CDE", "ACDE", "BCFG", "ACDEH"] [2,3,4] ["AC", "ACDE", "BCFG", "CDE"]
["ABCDE", "AB", "CD", "ADE", "XYZ", "XYZ", "ACD"] [2,3,5] ["ACD", "AD", "ADE", "CD", "XYZ"]
["XYZ", "XWY", "WXA"] [2,3,4] ["WX", "XY"]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AD가 세 번, CD가 세 번, ACD가 두 번, ADE가 두 번, XYZ 가 두 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5개를 주문한 손님이 1명 있지만,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에게서 주문된 구성만 코스요리 후보에 들어가므로, 요리 5개로 구성된 코스요리는 새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3
WX가 두 번, XY가 두 번 주문됐습니다.
3명의 손님 모두 단품메뉴를 3개씩 주문했지만,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에게서 주문된 구성만 코스요리 후보에 들어가므로, 요리 3개로 구성된 코스요리는 새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또, 단품메뉴를 4개 이상 주문한 손님은 없으므로, 요리 4개로 구성된 코스요리 또한 새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풀이

 

이번 문제도 매우 간단하게 풀 수 있다.

1. 손님이 주문하는 메뉴 목록인 orders가 알파벳순대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먼저 정렬해준다.

2. 새로 만드려는 course의 메뉴 수만큼 조합을 만든다. 이 때, itertools를 사용하면 쉽게 조합을 만들 수 있다. combinations외에도 순열, 중복순열 등 여러 함수가 존재한다.

3. 각 손님의 메뉴에 대해서 조합이 만들어졌으면 개수를 세서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한다.

4. 2 이상의 가장 큰 value를 answer에 추가한 뒤 모든 course를 만들었으면 정렬해서 return한다.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def solution(orders, course):
    answer = []
    #orders 정렬
    for i in range(len(orders)):    orders[i] = sorted(orders[i])

    for i in course:
        com_orders, count = [], {}
        #course의 메뉴 수대로 조합 만들기
        for j in range(len(orders)):
            com_orders.extend([''.join(k) for k in combinations(list(orders[j]), i)])
        #메뉴의 개수를 세서 count 딕셔너리 만들기
        for j in com_orders:
            try: count[j]+=1
            except: count[j]=1
        #count의 value 중 2가 넘는 가장 큰 값의 key 구하기
        if count:
            m = max(count.values())
            for key, value in count.items():
                if value == m and value>=2:
                    answer.append(key)
    answer.sort()

    return answer

 

테스트 1 〉	통과 (0.09ms, 10.1MB)
테스트 2 〉	통과 (0.05ms, 10.1MB)
테스트 3 〉	통과 (0.08ms, 10.2MB)
테스트 4 〉	통과 (0.08ms, 10.3MB)
테스트 5 〉	통과 (0.09ms, 10.2MB)
테스트 6 〉	통과 (0.20ms, 10.2MB)
테스트 7 〉	통과 (0.21ms, 10.1MB)
테스트 8 〉	통과 (1.65ms, 10MB)
테스트 9 〉	통과 (1.08ms, 10.3MB)
테스트 10 〉	통과 (1.67ms, 10.4MB)
테스트 11 〉	통과 (0.88ms, 10.2MB)
테스트 12 〉	통과 (1.12ms, 10.2MB)
테스트 13 〉	통과 (1.61ms, 10.2MB)
테스트 14 〉	통과 (1.08ms, 10.2MB)
테스트 15 〉	통과 (1.62ms, 10.3MB)
테스트 16 〉	통과 (0.39ms, 10.2MB)
테스트 17 〉	통과 (0.22ms, 10.1MB)
테스트 18 〉	통과 (0.11ms, 10.2MB)
테스트 19 〉	통과 (0.05ms, 10.2MB)
테스트 20 〉	통과 (0.26ms, 10.2MB)

+ Recent posts